본문 바로가기

영화 서울의 봄, 1979년 12·12 군사반란 사건, 해결되지 않은 역사!

은도깨비54 2023. 12. 5.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

영화 서울의 봄, 1979년 12·12 군사반란 사건

 

 

영화 '서울의 봄'은 1979년 12·12 군사반란을 다룬 작품으로, MZ세대의 열광을 일으키며 근현대사에 대한 관심을 끌었고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역사적 배경을 알고 영화를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1. 서울의 봄

'서울의 봄'은 영화가 개봉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400만 관객을 돌파하여 흥행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제와 내용의 흥미로움으로 계속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서울의 봄 포스터

 


작품은 11월 9일 첫 시사회 평가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가장 높은 관객 평점을 기록하고 있으며, 배우들의 연기가 큰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황정민과 정우성의 연기는 전두광과 이태신의 대결에서 몰입감과 설득력을 높여주고 있습니다.

황정민의 전두광 역에서의 특징적인 연기는 작품을 더욱 인상적으로 만들고 있으며, 정우성은 이태신의 원칙적인 스타일을 훌륭하게 표현하며 감동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영화의 편집과 구성은 근현대 역사를 다룬 영화 중에서 단연코 최고입니다. 특히 작전 구상과 전투 장면에서의 시각적 요소는 관객을 지루하지 않게 만들어줍니다.

 

 

예고편 바로 보기

 

 

극 중 전개되는 사건의 밸런스를 완벽하게 조절하여 긴장감을 유지하고, 사건 발생과 갈등 상황, 유머 삽입을 통해 관객을 한층 더 끌어들입니다. 또한,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정해진 결말에도 긴장감을 넘치게 표현됩니다.

 

2. 역사적 배경과 현대 관객의 반응

작품은 12.12 군사반란 등과 같은 역사적 사건을 다룹니다. 관객들은 충격적인 장면과 다양한 의견을 나눕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작품 속에서 특정한 언급이나 인물들의 특징에 대한 이해가 없는 관객들이 당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중장년층이나 해당 시대를 체험한 관객과 그렇지 않은 세대 간의 이해 차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서울의 봄과 현실 역사

영화는 1979년 10월 26일 사건을 시작으로 12월 12일 군사반란까지의 사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현실적인 사실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작품의 긴장감과 완급조절에 큰 역할을 합니다.

서울의 봄이라 불리는 이 시기의 사건들은 당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의 좌절을 보여주고, 작품은 이를 감정적으로 그리고 냉소적으로 풍자하면서 현실을 다루고 있습니다.

 

실제 사건 요약

1979년 10.26 사건으로 유신체제의 붕괴와 5.18 민주화운동 사이의 기간(1979년 10월 27일 ~ 1980년 5월 17일)으로 알려진 시기입니다. 이는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의 봄을 연상시킵니다.

서울의 봄도 7개월이 아닌 짧은 기간으로 끝났습니다. 10.26 사건으로 박정희의 사망과 암흑적인 시기의 끝을 향한 희망을 품고 있었지만, 그 대신에 전두환과 신군부가 찾아왔습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사망 이후 민주화 욕구가 대두되었고, 최규하 권한대행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습니다. 하지만 12.12 군사반란으로 인해 군사가 권력을 장악하였고, 이후 시위가 본격화되었습니다.

3월에 학생들이 '어용 교수 퇴진'을 외치며 시위를 했습니다. 18개 대학에서 발생한 이 시위에는 8천여 명의 학생이 참여했습니다. 교육부 장관은 교수들에게 물러나라고 촉구했지만 허용한 교수는 한 명도 물러나지 않았습니다. 4월에는 21개 대학에서 총학장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와 24개 대학에서 어용 교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계속되었습니다.

 

서울의 대학들은 재단 비리 척결, 학교 시설 확장, 학생회 인정, 학내 언론 자유를 요구하는 투쟁을 진행했습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행동이 이뤄졌고, 입시 휴강 조치와 교수들의 성명서 발표 등이 있었습니다. 또한 병영집체훈련 폐지를 요구하는 시위와 계엄 해제, 유신잔당 퇴진을 요구하는 성명도 있었으나 5.12 군부 쿠데타설 사건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은 안개 정국을 해결하지 않으면 학생들은 실력 행사에 참여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서울시내 대학들의 학생들은 야간 시위를 벌였습니다. 학생들은 최규하, 신현확, 전두환에 대한 시위를 벌였고, 신군부는 학생들의 시위를 비난했습니다. 주한 미국 대사는 학생들에게 자제를 요청했으며, 신군부는 학생 시위가 북한의 음모에 의해 일어났다고 주장하며 북한의 남침 위협을 언급했습니다.

5월 12일 비상국무회의에서 북한군 8군단의 행방불명으로 인한 남침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김영삼과 김대중 대통령은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국회소집에 합의했습니다. 휴전선 총격전으로 인해 정국 위기가 발생했으며, 진상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5월 14일, 고려대 총학생회장실에서 학생 시위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었고, 27개 대학 총학생회가 외부에서 싸우기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김옥길 문교부 장관과 김대중은 학생들에게 조용히 하라고 촉구했고, 문익환 목사는 군인들과 노동자들에게 무기와 해머를 내려놓고 나오라고 촉구했습니다.

5월 14일, 서울과 다른 도시에서 학생들이 총궐기 및 가두시위에 참여하여 신군부의 진압군 투입을 맞서 신민당과 지식인들이 비상계엄 해제를 요구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5월 15일에는 대학생 10만 명이 서울에서 '계엄철폐'를 외치며 민주화를 요구했고, 학생들은 신군부와 최규하 과도정부에 대한 비판을 표명했습니다.

서울의 봄 시위에서는 문재인과 김부겸 등이 참여하며, 유혈사태로 인해 신군부가 정권을 장악하고 학생들을 체포했습니다. 이 시위는 유혈사태 가능성과 민주화 실패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일으키며, 서울역 회군은 민주화를 미룬 결정으로 평가됩니다.

'서울의 봄' 실패의 한 요인은 계엄당국의 언론 통제와 삭제된 내용에 대한 언급이 있었으며, 5.17 비상계엄으로 인해 신군부가 국내를 장악하고 5.18 민주화 운동의 학살로 인해 한국의 민주화는 1987년의 6월 항쟁까지 미뤄지게 되었습니다.

 

맺는 글

'서울의 봄'은 12.12 전두환 군사정권의 쿠데타를 다룬 영화입니다. 이 작품은 훌륭한 연기와 창의적인 구성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두고 있으며, 관객들에게 역사적 배경과 중요성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MZ세대를 중심으로 이 작품에 대한 관심과 호평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MZ세대는 이 작품을 통해 근현대사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 영화는 12.12 군사반란의 역사적 사건을 다루며, 현실적이면서도 감동적인 경험을 관객들에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울의 봄'은 다양한 관객들에게 멋진 시청 경험을 선사하면서 근현대사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댓글